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3

[TIL 45] 파일 정보 확인하기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하면 루트 디렉토리 기준으로 여러 표준화 되어있는 디렉토리 들을 본적 있을 것이다. 최근에 내가 본건 fstab이라는 파일인데 보통  /etc/  디렉토리에 존재한다. 파일시스템 자체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리눅스 부팅시 마운트정보가 있다고 보면 된다. 이 파일의 데이터로 인해 자동으로 적용되는 것이다. 구성은 예를들어 다음같이 되어있다 proc /proc proc defaults 0 0none /var ramfs defaults 0 0none /etc ramfs defaults 0 0none /tmp ramfs .. 2024. 12. 21.
[TIL 44일차] Electron에서의 프로세스 통신 스스로 적어보는 근황너무 오랜만에 글을 적어본다. 회사 입사 초기라 매우 바쁘기도 했고, 적응하느라 좀 힘들었던 것 같다. 얼마 전에 처음으로 휴가를 모아서 사용해서 일본을 갔다왔다. 확실히 머리를 비우고 오기 좋았던 것 같다. 마음을 다시 잡았을 수 있던 것 같다. 블로그를 안적었다고 공부를 안한건 아니지만 블로그를 적지 않으면 이후에 내가 공부했던 흔적이 머리 속에서 쉽게 지워질 것 같다..... 회사에서 기존에 맡았던 탐지 엔진 개발과 데스크탑 앱 개발에서 업무가 변경되었다. 정확히 변경되었다기 보다 새 사업이 들어와서 새 사업 팀에 배치되서 그것들을 까지 유지보수할 역량이 부족한 것 같다. Electron새 사업 팀에 들어가면서 배치 받은 업무는 다음과 같았다. 1. 새 플랫폼을 자동으로 PC에 .. 2024. 10. 30.
[TIL 43일차] 리눅스 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디스크 상에 파일들을 구성하는 방식-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 다양한 형식의 파일 시스템이 존재- 리눅스는 전체 파일시스템을 1개의 트리 구조로 관리ls 명령- 파일과 서브 디렉토리 목록을 나열하는 명령- 옵션에 따라 파일이 가지는 속성도 확인 가능- ls [options] , [names]ls directory-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파일과 서브 디렉터리 정보를 출력ls file- 해당 파일의 정보를 출력꿀팁ls -s = 파일 크기 순서로 결과 정렬ls -t = 최종 수정 시간 순으로 보여줌파일의 종류정규 파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일- 실행 파일 이나 이미지 .. 2024. 9. 12.
[TIL 42일차] 리눅스 디렉토리 표준 리눅스를 쓰다보면 기본적으로 정리되어 있는 디렉토리들이 있다. 이것들을 아무것도 모르고 찾아보기엔 어느정도 용도를 알고 보는게 더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루트 디렉토리: /- 파일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디렉토리-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 바이너리 디렉토리: /bin, /sbin- 기본적인 명령의 실행 파일을 포함(/bin)- 부팅 과정이나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명령의 실행파일을 포함(/sbin) 부트 디렉토리 : /boot- 커널 이미지(vmlinuz)와 부트 로더의 설정 파일을 포함 디바이스 디렉토리 : /dev- 장치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디바이스 파일'이 위치함 시스템 설정 파일 디렉토리 : /etc- 시스템의 중요한 환경 설정 파일이 위치함 사용자 계정 디렉토리: /home.. 2024.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