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취미45

다시 시작하는 TIL8일차 오늘한일 오늘은 코드를 3줄 짜서 멘탈이 나간 날이다. 지금 미러링 통신은 제껴두고 좌표에 따른 이벤트를 먼저 구현하려는데 들어오는 좌표가 내가 표시하는 화면에 최적화가 안된다. 예를 들어 가져온 화면 좌표 데이터는 [0,0][1234,2345] 이라면 현재 표시되는 화면은 최대 크기는 560,780 이런 식이다. 선배에게 물어봤지만 결국 모든 프론트 적인 요소는 그리는 것이라고 말해서 할 수 있다고만 하셨다. 이거를 어떻게 처리해야할까. 들어오는 데이터에서 필요한 데이터는 뽑았으니 나오는 데이터에서 표현을 어떻게 할지에 문제이다. 말로 줄인다고 생기는 과정이 줄어드는 건 아니니..... 개인적으로 생각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필요한 좌표가 들어가있는 리스트를 loop를 돌면서 원소데이터와 원소의.. 2024. 6. 17.
다시 시작하는 TIL7일차 오늘 한일오늘은 들어오는 화면 데이터를 가져와서 필요한 데이터로 이벤트를 구현하는 걸 부탁받았다. 문자열 관해서 알고리즘을 풀어본적은 있으나 직접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실무에서 어떻게 처리해야하는지 내가 왜 이걸 해야하는지 알고 하니 평소에 알고리즘을 왜 풀어야하는지 제대로 체감 했다. 데이터가 굉장히 길게 나왔다. 간단하게 생각해서 f12를 눌렀을 때 나오는 창의 구성과 비슷하다.    화면에서 내가 일으켜야할 이벤트를 직접으로 생성하고 파악해야한다. 생각할 수 있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먼저 내가 필요한 데이터를 찾는다.2. 필요한 데이터를 따로 추출한다.3. 필요한 데이터 만으로 어떻게 이벤트를 일으킬 것인가 3단계로 생각할 수 있다. 먼저 1단계에서 화면에서 컴포넌트별로 x,y좌표가 나왔다.. 2024. 6. 13.
다시 시작하는 TIL6일차 오늘 한일오늘은 솔직히 큰일은 못했다. 함수를 짜는데 연결리스트 형식의 자료구조를 메모리를 할당해놓고선 return 값으로 메모리를 넘겼지만 그 전에 할당 취소되는 코드를 신경 못쓰고 버그를 잡지못해서 삽질을 너무했다..... 그냥 하루가 날아갔다. 그 와중에 알아낸건 하나는 있다. 레거시 코드를 찾아보다가 발견한게 있다. 바로 우리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에서 버튼을 클릭이나 가져다 대면 나오는 애니메이션은 다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api를 통해서 그려진 것이라는거다. 진짜 로우레벨 코드들만 보니까 온갖 신기한거를 다 보게 되는 것 같다. 그와중에 무지성으로 요청오면 다 받아주는줄 알았는데 나름대로 신기한거는 다 테스팅은 되고 있다는거다 ㅋㅋㅋ 여기다가 직접적으로 적진 못하지만  간단하게 보면.. 2024. 6. 12.
다시 시작하는 TIL 5일차 오늘 한일오늘 드디어 엔진에서 멀티쓰레딩으로 파일을 가져오는 로직을 완성했다. 진짜 ㅋㅋㅋㅋ 유한 버퍼 문제 몇일간 잠도 못자고 고민 많이 했는데 얼추 비슷하게 해결해서 다행이다..... 원래 처음에는 그냥 버퍼 하나만 써서 하다가 그냥 버퍼 늘리면되는거 아닌가 생각했는데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았다 ㅠㅠㅠ 이거로 삽질을 너무 했다. 버퍼 갯수를 늘려도 결국에 동기화는 해야한다고 한다.(진작 물어볼걸) 버퍼 갯수로 잘 조절해서 써야되는데.... 이거는 아직은 내 영역 밖인거 같아서 일단 던져버렸다 ㅋㅋㅋㅋㅋ 동기화 자체가 어려워 유한버퍼 문제도 어렵게 보일 수 있으나 내가 이해한 방식으로 설명하겠다. 유한 버퍼문제는 다음과 같다. 유한버퍼 문제 :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전적인 동기화 문제 중 하나.. 2024. 6. 11.